200년 시스템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하는 순간 오늘은 인공지능의 도움 없이 뉴스레터를 작성하고 싶었습니다. 명절 연휴가 시작되기도 하고, 어제 소라2 엔진을 사용하면서 뭔가 인간의 진짜 가치가 무엇일까를 생각하는 시간도 글을 쓰며 가져볼까 해서요. 긴 연휴 평안하게 보내시고, 7일(화) 발행은 함께 쉬고, 10일(금)에 뵙도록 하겠습니다. |
|
|
인공지능 공부, 사실 별 것 없습니다.
어제 오픈AI Sora2 엔진이 갑자기 발표되고 나서 인공지능 커뮤니티가 시끄러웠죠. 저도 먼저 사용해 보니 분명한 특이점이었고, 10월 오픈 클래스 강의안을 빠르게 보완했습니다. 사실 AI 공부는 아래 패턴을 습관으로 가지고 있으면 어떤 새로운 기술이 나와도 별로 놀라거나 두려울 일이 없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태도는 내가 믿던 것을 의심하고 겸손해지는 일입니다. 축적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런 유연한 태도가 정착됩니다.
- 관심 있는 엔진을 빠르게 테스트
- 엔진의 공식 문서를 찾아서 공부
- 일과 연결해서 구독 후 지속 사용
- 관심분야 커뮤니티에서 활동하기
|
|
|
세상은 확실히 바뀐 게 맞습니다.
직원 30명의 회사가 대기업을 이기는 시대입니다. 실제로 텔레그램의 직원은 30명이고, 미드저니의 직원은 2명으로 시작해서 현재 40명 정도입니다. 미드저니의 2025년 매출은 약 2천5백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더 놀라운 것은 두 회사 모두 외부 투자를 받지 않았다는 점이죠. 심지어 Base44 라는 노코딩 툴을 서비스하는 회사는 직원이 1명이고, 얼마 전 천 억 원에 팔렸습니다. 이제 직원의 숫자와 회사의 매출이 아니라 직원 1인당 기업가치가 훨씬 중요하죠.
|
|
|
1인당 매출이 새로운 성과지표
챗지피티를 서비스하는 OpenAI의 직원은 약 700명입니다. 현재 기업가치는 약 $157B(한화 216조 원)이고, 이를 직원 1인당 가치로 환산하면 $224M(한화 3천억 원)입니다. 삼성전자의 직원은 약 267,000명, 시가총액은 $300B(한화 414조 원)이고, 직원 1인당 가치는 $1.1M(한화 15억 원)으로 두 회사의 직원 가치는 약 204배 정도입니다. 이제 무거운 조직은 ‘힘’이 아니라 ‘짐’입니다. 구글, 메타 같은 세계적인 빅테크도 모두 인력 감축에 들어갔죠. 구조 조정처럼 보이지만, 사실 인력 최적화 작업입니다.
|
|
|
채용공고문을 보면 모두 보입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 신입사원 공고문의 내용은 'OJT 1개월, 멘토링 제공, 장기근속 우대' 같은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신입사원 공고는 눈 씻고 찾아보기 힘들죠. 그리고 경력사원 공고문 내용도 아래처럼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시대예보에 나오는 말처럼, 이제 기업과 직원은 '지금, 잠시, 다시' 만나는 관계일 뿐입니다.
- 즉시 투입 가능한 인재
- 3주 프로젝트 계약직
- 성과 기반 재계약 가능
- 포트폴리오 필수
|
|
|
어떻게 살 것인가? 체크해 보세요.
10월 2일(목) 진행한 오픈 클래스에서 인공지능 시대, 개인의 생존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설명드렸습니다. 아래 내용이 있으니, 님도 직접 체크해 보세요. 5가지 모두 체크되어 있지 않다면, 조금 뒤처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아직 늦지는 않았습니다. 세계적인 AI 전문가들도 올해가 골든타임이라고 말하고 있고, 제 생각에도 올해까지 인공지능과의 하이브리드 역량을 갖추는 개인은 분명히 살아남을 수 있을 겁니다.
|
|
|
프롬 10월 클래스가 곧 마감됩니다.
프롬 10월 수업은 'AI 커뮤니케이터'를 주제로 진행됩니다. 국내 최정상급 AI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이 '하이브리드 +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티'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을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합니다. 하이브리드: AI를 두려워하지 말고 협업하라, 커뮤니케이션: 경쟁하지 말고 신뢰를 쌓아라, 커뮤니티: 혼자가 아니라 함께 성장하라. 신청은 10월 12일(일) 저녁 9시에 마감됩니다. 💌 신청링크
|
|
|
인간은 생각하고, 기계는 기술한다. AI 스토리텔링 랩 '프롬'은 인공지능과 인문지성을 연결하는 ‘스토리텔링 실험실’이자, 좋은 도구로 더 좋은 이야기를 만드는 ‘콘텐츠 스튜디오’입니다. MBC C&I 'AI 콘텐츠 랩', 한국영상대학교, 거꾸로캠퍼스 등과 연구/수업/프로젝트 파트너십이 운영 중입니다.
|
|
|
|